측은지심 (惻隱之心 ) 惻隱之心 가엾이 여기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측은지심 (惻隱之心) 설헌서택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上 6 丑(추) : 이름 사단(四端) 맹자는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로부터 수학했다. 공자보다는 3대 정도 후세 사람이다. 공자는 2천 5백여년전 사람이다. 공자의 학맥(學脈)은 .. 지혜의 샘 2019.09.19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 無違 효란 어기지 않은 것이다 귀신 시나락 까먹는 소리 옛날에는 볍씨를 나락이라 했다. 농부는 벼수확을 한후 제일 먼저 챙겨야 할 것이 씨나락이다. 바로 볍씨다. 아무리 먹고 살기가 힘들어도 볍씨는 잘 보관해 두었다. 한겨울 지나다 보면 허기는 지고 먹을 것이 없으니 자식들이 볍.. 지혜의 샘 2019.09.17
[백범 김구 선생님 명언 20가지] [백범 김구 선생님 명언 20가지] 1.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피 않는다. 우리의 부력이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가 강.. 지혜의 샘 2019.09.12
인생 덕목 8가지 인생 덕목 8가지 <인생 덕목 8가지> 1. 말(言) 말을 많이 하면 필요 없는 말이 나온다. 양 귀로 많이 들으며, 입은 세 번 생각하고 열라. 2. 책(讀書) 수입의 1%를 책을 사는데 투자하라. 옷이 헤어지면 입을 수 없어 버리지만...책은 시간이 지나도 위대한 진가를 품고 있다. 3. 웃음(笑) 웃.. 지혜의 샘 2019.09.10
황혼(黃昏)의 12도(道) 황혼(黃昏)의 12도(道) 제1도-언도(言道) 말은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제2도-행도(行道) 행동(行動)은 느리게 하되 행실(行實)은 신중(愼重)해야 한다. 제3도-금도(禁道) 탐욕(貪慾)을 금(禁)하라! 욕심(慾心)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제4도-식도(食道)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 지혜의 샘 2019.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