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쇠(老衰)와 상실(喪失)의 시절(時節),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아직도 늙지 않았다 큰 소리 치는가? 아직 나는 100세를 산다고 자신(自信)하는가? 인생(人生) 일흔 줄에는 누구나 늙는다. 우리의 몸은 쇠락(衰落)하고 퇴화(退化)하기 마련이다. 노화(老化)의 과정(過程)은 태어나는 순간(瞬間)부터 지속적(持續的)으로 계속(繼續)되는 현재진행형(現在進行形)이다. 하나하나 불쾌(不快)하고 불안(不安)한 증상(症狀)과 변화(變化)가 끊임없이 괴롭히며 어김없이 생겨난다. 활력(活力), 치유력(治癒力), 감각(感覺), 근육(筋肉), 골밀도(骨密度,) 정력(精力), 기억력(記憶力).. 모든 것이 둔(鈍)해지고 약(弱)해지고 감퇴(減退)하며 사라져간다.
여기저기 아픈 곳이 생긴다. 주름도 생기고 백발(白髮)이 된다. 귀와 눈이 어두워지면서 독립성(獨立性)도 잃고 혼자 생활(生活)이 어려워진다. 친구(親舊)들 하나 둘 사라지고 가족(家族)과도 헤어지고 외롭고 쓸쓸하게 하나하나 잃어간다. 쇠약(衰弱)의 시절(時節)을 지나 상실의 시절이 오고 이별(離別)의 순간이 다가 오고 있는 것이다. 누구라 거역(拒逆)할 것인가? 이별은 우리가 닿아야 할 종착역(終着驛)이 아닌가? 그러나 아직 인생무상(人生無常)이나 일장춘몽(一場春夢)이란 말 감히 입에 올리지 말고 생각도 말자.
하얀백발(白髮)과 주름투성이 얼굴은 우리들 인생(人生) 자랑스런 생존(生存)의 깃발이 아닌가? 인간(人間)의 섭생(攝生)과 노화에는 규칙(規則)이 없다. 스스로 지키고 만들면 그것이 방법(方法)이 된다.
지속적(持續的)인 신체활동(身體活動) 속에 웃고 즐기는 생활, 무엇이든 배우고 익히는 계속적인 정신활동(精神活動), 사회공동체(社會共同體)와의 끊임없는 연계(連繫)와 활동이 있다면 언제 늙고 언제 외롭다 푸념할 시간(時間)이 있을까? 무언가 변화가 오고, 무엇이 떠나간다 해도 흔들리지 말고 담담(淡淡)하게 살아가자. 원래 이렇게 늙어가는 것이라 순응(順應)하면서 인생의 섭리대로 의젓하고 품위(品位) 있게 살아가자. 아직은 경륜(經綸)과 관록(貫祿), 존재(存在)의 깊이와 무게. 오랜 삶이 선사(膳賜)하는 기백(氣魄)과 품격(品格)이 있지 않는가? 비록 짧다 해도 황혼(黃昏)의 아름다움처럼 남은 열정(熱情) 다해 사랑하며 살아감이 옳지 않겠는가? 무거운 의무(義務)와 책임(責任)에서의 해방(解放), 우리들만의 자유(自由)를 만끽하면서 말이다.<여 농 권우용 著> [노년(老年)의 마음에 새겨볼 좋은 글] 이 세상에 일단 태어난 사람은 예외 없이 누구나 다 가난하던, 부자 던, 지위가 높건, 낮건 예외 없이 나이를 먹으면서 노인으로 변해갑니다. 산전수전을 다 겪으면서 그렇게 어쩔 수 없이 노인으로 늙어 가긴 하지만, 분명한 것은 늙더라도 반듯하고 곱게 늙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학(大學)을 보면, 옛날에 "탕"이라는 임금은 제사(祭祀) 때 손을 씻기 위한 세수(洗手) 대야에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좌우명 하나를 적어놓고 곱게 늙기 위한 노력을 늘 멈추지 않았다는데 그 좌우명의 내용을 보면, “구일신(苟日新) 이어든 일일신(日日新)하고, 우일신(又日新)하라.”는 말로써 “진실로 새로운 삶을 살려면, 나날이 새롭게 하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는 뜻입니다. 이처럼 반듯한 노인으로 늙기 위해서는 이미 새로워진 것을 바탕으로 더욱더 새로워져야 하는 노력을 한 순간도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하니 그런 의미에서 나이들면서 꼭 마음에 새겨두어야 할 몇 가지를 열거해 봅니다. 01.노인이라는 것은 벼슬도 자격도 아니다. 06.빈정대는 것은 바보라고 하니 절대삼가야 한다. 11.늙었다는 이유로 대접받으면 반드시 감사를 표해야 한다. 16.새로운 기계가 나오거든 열심히 배우고 익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나이 들면서 꼭 마음에 새겨야 한다는 글을 보고 나니 문득,"정철(鄭澈)"의 시조(時調) 하나가 생각납니다. "이고 진 저 늙은이 짐 벗어 나를 주오. 나는 젊었거늘 돌인들 무거울까? 늙기도 서럽거늘 짐조차 지실까?" 정말 늙기도 서럽거늘 어찌 이리도 지켜야 할 것들이 갈수록 많아지는 것일까? 곱고 반듯하게 늙으려면 오늘도 일일신(日日新) 우일신 (又日新)하여야지요! [장(腸) 건강(健康) 위해 꼭 지켜야 할 10가지 생활습관(生活習慣)] 대장 건강은 식사 및 생활습관과 관련이 깊다. 대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 수칙 10가지를 소개한다. 1.아침 먹고 화장실 가기 일반적으로 식사 후에 위가 팽창되면 대장운동이 증가돼 변을 보고 싶어진다. ‘위·대장반사’라고 하는데, 이를 이용해 아침식사 후에 배변하는 습관을 들인다. 배변시간은 최대 10분을 넘기지 않는다. 변기에 앉아 신문·잡지를 읽는 것은 좋지 않다. 2.세 끼 식사는 거르지 않기 변비 환자는 변의 양을 줄이기 위해 밥을 적게 먹는 데, 오히려 식사량이 많을수록 대변 양이 많아져 변 보기가 쉽다.
특히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의 3분의2가 아침에 배변을 하지 않고 변비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3.섬유질 식품 먹기 섬유소는 40배 많은 물을 흡수해 변비 예방 효과가 탁월하다. 또 대변의 대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켜 발암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시간을 줄여 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채소에 섬유질이 풍부한 것은 사실이지만 섬유질 중 물을 빨아들이는 흡수성이 높은 섬유소만이 장 기능 및 변비에 효과 있다. 현미·차전자·양상추·당근·오이·고구마·감자·토란·사과·배·포도·오렌지 등은 좋지만 김치, 콩나물 등 물에 녹지 않는 거친 섬유소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4.물은 충분히 마시기 대변의 약 70%는 수분이고 나머지는 고형성분으로 음식물의 찌꺼기,즉 섬유질과 장 내 세균이다. 무조건 물을 많이 먹는다고 변비가 좋아지지 않지만,
탈수상태로 대변에 함유된 수분이 흡수되어 변이 굳어진 경우에는 효과적이다. 특히 밤에 땀을 많이 흘려 아침에 탈수되기 쉬우므로 기상 직후 물 한 컵을 마신다. 5.꾸준히 운동하기 땀을 흘릴 정도의 운동이면 무엇이든지 좋다.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보다는 산책·조깅 같은 유산소운동이 장 건강에는 더 좋다.
전신운동은 심장과 폐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좋게 해서 배변을 돕는다. 여유가 없을 땐 아침 잠자리에서 윗몸일으키기나 훌라후프 같은 복부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한다. 6.변비, 설사 생기지 않게 주의하기 굳은 대변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힘을 줘야 하고 항문관 주변에 피가 지나치게 고이면 배변 시 탈출이 심해지고 점막의 손상범위도 커진다. 쪼그려 앉는 일도 피한다. 항문 주위에 압력이 가중돼 치질에 걸리기 쉽다. 7.좌욕, 목욕 습관들이기 치질을 예방하기 위한 좌욕을 2∼3분씩 하면 좋다. 배변 후 따뜻한 물에 항문을 담그고 5∼10분간 좌욕한다. 샤워기로 씻는 것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다. 평소에는 항문을 건조하게 유지한다. 8.술은 안 마시는 게 좋아 적당한 알코올은 혈액순환을 개선해 주지만 지나치면 혈관을 확장시킨다. 그러면 치질 위험성이 높아진다. 9.채소와 과일, 꼭 챙겨 먹기 대장운동을 촉진하는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는다. 건포도를 아침에 꾸준히 챙겨 먹는 포도요법도 좋다. 이와 함께 무화과, 양배추, 고구마, 감자를 삶아서 먹어도 좋다. 10.대장내시경 검사 받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대장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검사다. 이 검사를 하면 용종이나 암 외에 염증성 장 질환, 게실 등을 발견할 수 있다.<출처: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 좋은 글 중에서 - |
'생활상식(음식.건강,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화상(自畵像), 같은 값이면 맑고 밝고 건강(健康)하게 (0) | 2019.04.04 |
---|---|
노인 건강 상식 (老人 健康常識) (0) | 2019.04.03 |
[노년(老年) 스스로 사랑하기] (0) | 2019.03.29 |
체념(諦念)하고 절망(絶望)하는 순간(瞬間) 사람은 늙는다 (0) | 2019.03.24 |
노년(老年)에 착각지대(錯覺地帶) 벗어나기 (0) | 2019.03.17 |